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문화재청 ‘남해 용문사 대웅전’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은 지난 3일 시·도 유형문화재 중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된 ‘남해 용문사 대웅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남해 용문사 대웅전’은 중창(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기록과 건축 양식으로 볼 때, 조선 현종 7년(1666)에 일향화상(一香和尙)에 의해 건립되고, 영조 47년(1773)에 중수(낡고 헌 것을 손질하여 고침)가 완료돼 현재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특히 대웅전 반자(방 또는 마루의 천장을 가려서 만든 구조체)에는 바다를 상징하는 거북, 게, 물고기, 해초 등을 조각해 바닷가 건축물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모습은 해남 대흥사 천불전, 나주 불회사 대웅전의 빗반자에 나타난 물고기 장식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남해 용문사 대웅전은 평면 구성과 공포의 표현기법, 상부 가구와 닫집 등에서 수려한 장엄 수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장엄의 극치는 18세기 이후 건립된 사찰 주불전의 특징적 건축양식으로, 서남해안 지역의 건축 경향이 동쪽 지역으로 확장돼 발전하는 양식적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며 “이러한 이유로 ‘남해 용문사 대웅전’은 남해안 해안 지역의 사찰건축 중 흔치 않은 귀중한 불교문화유산으로서 건축사적 가치가 크므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남해 용문사 대웅전’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2014년 11월 06일 10시 17분 / 문화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