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주간농사메모

■벼농사
올해 사용할 볍씨는 해당 지역의 장려품종 중에서 수매 품종 및 사용목적(밥쌀용, 특수미 등)에 맞는 품종을 확보하는데, 신품종으로 바꿔 재배하거나 시범포에서 생산된 종자를 재배할 농가는 품종의 적응지역, 시비량, 병해충 등 재배특성에 유의하여 품종을 선정한다.
벼 보급종을 기본신청기간에 신청하지 못한 경우 추가신청기간을 이용하여 신청하도록 하고, 시군농업기술센터, 또는 읍면사무소를 통해 공급일정을 미리 확인하여 수령한다.
자가채종 종자 및 자율교환 종자를 사용할 농가에서는 지난해 등숙기 잦은 비로 수발아 피해 우려가 있으므로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종자 활력검사를 반드시 받은 후 사용한다.
■채소
한파에 대비하여 시설하우스 설치 지역별 기후조건에 맞는 작목 선택도 중요하지만, 재배작물별 한계 온도를 숙지 후 시설 내부 온도관리를 해 주는 것이 좋은데, 과채류 야간 최저온도는 12℃ 이상, 엽채류는 8℃ 이상으로 유지한다.
시설재배 작물별 적정습도 유지로 생육관리 및 병 예방에 유의하고 보온 커튼은해가 뜨는 즉시 걷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며, 작물별로 최저 생육한계온도를 확인하여 동해를 예방한다.
겨울철 시설하우스재배에는 시설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우 낮아 작물 수량 및 품질이 떨어지므로 인산화탄소 공급을 위해 환기를 실시하거나 유기물(퇴비, 볏짚, 가축분, 톱밥 등)살포, 탄산가스발생기 등 적절한 방법을 활용한다.
■과수
외부기온 저하로 배 저장고 내부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빙점 이하 온도에서 조직의 결빙에 의해 나타나는 동해피해가 나타나므로 온도를 0℃가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2019년 과원 병해충 방제계획 및 필요한 농자재 확보 시 강화되는 농약잔류허용목록관리제도(PLS)와 그 밖의 달라지는 제도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고 과종별 등록된 농약 등 영농자재를 구입한다.
■축산
조류인플루엔자(AI)예방을 위한 축사 출입구 발판소독조를 설치 운영하고, 야간 및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 때는 소독조가 결빙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이동해 사용한다.
가금사육농가에서는 철새도래지 출입금지, 축사 내·외벽 그물망 정비, 축사 출입 시 전용 의복 및 신발 착용, 발판소독조 주기적인 소독약 교체 등 AI발생 방지를 위한 차단방역에 적극 노력한다.

2019년 01월 17일 10시 25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