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늘어나는 자영업자 씁쓸한 사장님들 』 경남지역의 최근 5년 동안 자영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그룹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는 지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동안 경남지역 자영업자가 42만4000명에서 46만6000명으로 9.9%인 4만2000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이는 경남지역의 주력 산업인 조선업의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관련 업종의 근로자들이 퇴직·실직으로 인해 대거 자영업자로 전환됐기 때문이라고 연구센터는 분석했다.
하지만 부산·울산지역의 자영업자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동남권연구센터가 낸 ‘동남권 자영업 현황 및 시사점’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지역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위축 등의 영향으로 동남권 자영업자는 88만 7000명에서 85만 6000명으로 3만 1000명이 감소(3.5%)해 전국 1.1% 보다 감소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부산지역이 2013년 37만3000명에서 2018년 30만9000명으로 6만4000명 줄어들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17.2% 감소율을 기록했다.
울산지역도 9만명에서 8만1000명으로 줄어들며 10.0%의 감소율을 보였다.
특히 동남권 자영업의 영세화, 고령화 등 전통서비스업에 편중되는 현상으로 인해 전국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했다는 평가다.
영세 자영업자의 비중은 2017년 28.2%로 전국 수준(25.4%)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 자영업자 비중도 전국 수준(21.7%)을 웃도는 23.1%로 조사됐다.
업종별 영세화에 있어서 2017년 동남권 자영업자 중 도소매업(27.8%)과 음식숙박업(27.3%)의 비중 합계는 55.1%에 달했으며 이들 업종이 상대적으로 창업이 용이해 진입장벽이 낮은 데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동남권의 자영업 밀집도(인구 1000명당 사업체 수)는 전국(61.8개)보다 높은 66.1개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67.5개로 가장 높은 밀집도를 보였고 경남은 66.9개, 울산의 경우 59.8개로 조사됐다. 업종별 폐업률은 음식업(18.7%)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리·중개·도급업(17.5%), 소매업(15.8%) 순이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동남권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최근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자영업 지원 대책이 자영업 활력 제고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준비 없는 창업과 이에 따른 사업실패를 줄일 수 있도록 창업 전 교육 및 정보제공에도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04월 04일 10시 28분 / 경제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