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주간농사메모

◇벼농사
지역별 알맞은 품종을 적기에 이앙을 하면 수확량이 늘고 미질 향상에 유리하므로 중모보다 출수시기가 3~5일 늦은 어린모는 적기 내에서도 가급적 일찍 모내기를 마치는 것이 좋다.
모 이앙 최적기보다 10일 빠르거나 10일 늦어지면 수량이 감소하고 백미 중 속이 불투명한 쌀알이 증가하여 품질이 떨어지며, 특수 2모작 늦모내기나 산간지대에서는 어린모 기계이앙을 피해야 한다.
논 잡초(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는 모내기를 전과 후, 2차례 나눠 방제를 해야 하는데, 써레질 후 모내기 5일 전에 적용약제로 1차 처리를 하고, 이앙 후 12~15일에 2차로 살포해 준다.
◇밭작물
보리는 벼 이앙 등 뒷그루 작물재배를 고려하고 적기수확을 하되, 수확 시 손실량, 작업능률, 발아율 등을 감안할 때 이삭이 팬 후 40일 이후가 수확적기이다.
밀 수확적기를 잘 맞추고, 붉은곰팡이병 발생 밀 수확은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은 피하여 맑은 날 콤바인 풍구의 풍속을 최대로 높여서 실시한다.
◇채소
마늘 주아재배 방법은 마늘종을 뽑지 않고 키우면 작은 마늘 주아가 50~100여개 달리는데, 이 주아를 가을에 심어 다음해 50원짜리 동전크기의 둥근 통마늘을 수확하여 통마늘을 다시 심어 키우면 무병 일반 구 마늘을 수확할 수 있다.
마늘 주아재배를 하면 생산비의 약 35%를 차지하는 종구비를 절약할 수 있고, 종구의 바이러스 감염밀도를 낮춤으로써 수량성이 약 15%까지 향상되고 품질도 좋아진다.
◇과수
사과는 꽃이 피고 2주가 지나면 정상적인 수정여부가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으므로 열매솎기를 6월 상순까지 마무리 하되, 1차 열매솎기는 중심과를 남기고 측과를 제거하고, 과일 간격을 대체로 한 뼘 정도 되도록 한다.
사과 2차 열매솎기는 나무 전체 엽수에 대한 착과수를 산출하여 실시하고, 3차 열매솎기는 상품과 및 수량성을 전제로 엽과비를 기준으로 실시한다.
◇축산
돼지에서만 발생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치사율이 최고 100%인 제1종 가축전염병이므로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고, 남은 음식물 급여 양돈농가는 가급적 일반사료로 바꿔서 급여한다.
양돈농가는 매일 임상관찰을 실시하고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축 발생 시 방역기관(1588-9060/1588-4060)에 즉시 신고한다.

2019년 05월 30일 10시 48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