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단감 병해발생 적합한 환경조성 예찰방제 필요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재민)은 올해 7월 강수량이 평년 대비 46.8% 증가(291.1mm → 427.3mm)하는 반면 일조량은 21.9% 감소(174.7hr → 136.5hr)하는 등 단감나무가 각종 병해로부터 취약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철저한 과원 예찰과 방제를 당부하였다.
단감 탄저병은 6월 이후 기온이 15℃ 이상이고 비가 오면 감염되어 6~10일간 잠복기간이 지난 뒤 발병한다. 금년처럼 강우량이 많고 기온이 높은 경우는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병이기도 하다.
탄저병에 감염된 가지나 과실은 즉시 제거하여 과수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소각하거나 땅에 묻어야 하며, 방제를 위한 적용약제를 과원에 살포해야 한다.
5~6월에 병포자가 성숙하는 둥근무늬낙엽병은 20℃ 전후의 온도에서 비가 오면 병원균 포자가 비산하여 잎과 과실꽃받침에 침투하여 60~120일 정도 오랜 잠복기간을 경과한 후 8월말이나 9월 상순부터 발병된다.
발병이 심한 과원은 조기낙엽이 되고 과실 또한 빨리 물러져 떨어져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수세가 약한 나무에 많이 발생하므로 토양의 수분과 양분 관리를 합리적으로 하여 수세를 건전하게 유지해야하며, 병든 낙엽은 철저히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야 한다.
모무늬낙엽병은 30℃ 전후의 온도에서 잘 발생하며 7월경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낙엽시기까지 지속된다. 둥근무늬낙엽병과 마찬가지로 병든 낙엽을 철저히 제거해야한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김태엽 연구사는 “올해 봄철과 7월의 기상조건이 각종 병 발생에 적합한 조건이 형성되어 단감주산지를 중심으로 병해발생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 라며 단감재배 농가의 면밀한 예찰과 방제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2021년 08월 05일 9시 45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