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올해 쌀 생산량 380만4000t

통계청은 올해 쌀 생산량이 380만4000t(톤)으로 1년 전보다 2.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이 지난 7일 발표한 ‘2022년 쌀 예상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쌀 생산량은 지난해 388만2000t에서 올해 380만4000t으로 2.0% 줄어든다.
다른 작물 재배 지원과 같은 벼 재배면적 조정 정책과 쌀 가격 하락 등으로 벼 재배면적이 소폭 감소한 영향이다.
올해 벼 재배면적은 72만7158㏊(헥타르: 1만㎡)로 지난해 73만2477ha보다 0.7% 줄어든다.
10a(아르: 100㎡)당 예상 생산량은 523㎏으로 지난해(530㎏)보다 1.3% 감소한다.
가지 치는 시기(분얼기)와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에 강수량이 부족했던 영향 등으로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74만t), 충남(73만5천t), 전북(61만9천t) 등의 순으로 예상 생산량이 많았다.
1년 전 대비 증감률로 보면 전남(-6.3%), 충남(-5.0%), 강원(-4.0%) 등 대부분 지역에서 생산량이 줄어든다. 반면 전북(4.2%)과 경북(1.7%)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최근 쌀 소비량 감소 추세를 고려했을 때 올해도 수급 과잉이 예상된다며,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쌀 매입에 나설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20일부터 2021년산 쌀 10만t과 2022년산 쌀 35만t을 수매해 총 45만t을 연내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했다.

2022년 10월 13일 8시 54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