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고품질 쌀생산정책 효과있나

정부의 고품질 쌀 생산정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쌀 수확 이전에 집중돼 있는 영농지도 및 투자를 저장과 가공 등 수확 이후까지 이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경남도농업기술원 및 미곡종합처리장(이하 RPC)에 따르면 그동안 농정당국은 ‘양에서 질’ 중심으로 양곡정책이 전환된 이후 고품질 벼 품종 보급, 적기 재배 권장, 지력을 높이기 위한 토양 검증 및 친환경 비료공급 등과 같은 영농정책에 주력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벼의 생육조건이 좋지 않은 것을 우려한 일부 농가가 질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쓰러짐 피해를 막기 위해 질소질 비료 사용량 줄이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고품질 쌀 생산 정책을 바라보는 RPC업계의 시각은 좀 다르다.
RPC업계는 현재의 고품질 쌀 생산 정책은 엄밀히 말해 ‘고품질 벼 재배정책’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현재의 저장 및 가공시설을 가지고는 밥맛이 우수한 고품질 쌀 생산은 어렵다는 견해다.
실제 쌀의 품질과 밥맛을 결정짓는 요인 가운데는 품종이 기여도 면에서 가장 높은 편이지만 이에 못지 않게 저장형태나 도정특성·건조방법 등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도내 27개 RPC를 포함한 업계의 환경은 △저장 시설의 부족 △도정기계의 낙후 △재고량 증가에 따른 야적 등으로 고품질 쌀 생산정책과 보조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때문에 지난 3월 도농업기술원에서 마련한 ‘고품질 쌀 생산 전략워크숍’에서는 질소질 비료 과용을 막는 것뿐만 아니라 혼합도정에 따른 혼합미 유통 문제와 벼 수확후 관리기술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게 지적됐다.
진주지역 RPC 한 관계자는 “소비자에게 품질이 좋은 쌀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이라면 생산단계에만 집중해서는 안된다”며 “재고량 증가에 따른 장기보관 문제를 해결할 저온저장 시설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업계의 상황을 고려해 수확 후 관리에도 좀더 신경을 썼으면 한다”고 말했다.

2002년 07월 22일 12시 07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