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지명유래) 이홀동(耳笏洞)

본래는 진주군 남양면 지역이었다. 광무 10년(1906)에 고성군으로 이속되었다가 1912년에 사천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에 남양면 이곡.홀곡.고성군 하이면 수청.남곡개.봉곡 각 일부를 통폐합하여 수남면 이홀리라 하였다. 1918년에는 수남면과 문선면을 통합한 삼천포면 이홀리라 하였고, 1931년에는 삼천포면이 읍으로 승격되면서 이홀동으로 개칭되었다.

◆가매바우 : 구실 새미골과 안골 사이에 있는 바위로 가마처럼 생겼다고 함.

◆갓골 : 구실마을 북쪽 골짜기.

◆구실 : 이홀동에서 으뜸되는 마을. 와룡산의 용의 귀에 해당한다고 함.

◆구실 : 일명 귀실이라고도 함.

◆돌팔걸 : 구실 소류지 밑에 있는 들에 옛날에는 돌이 8개가 떨어져 놓여 있어서 돌이 걸어 오다가 멈춰섰다고 함. 현재는 7개가 남아 있음.

◆망낭끝 : 구실공동묘지 산 아래쪽에 있는 모롱이 끝.

◆물새미 : 새미골에 있는 우물.

◆범당산 : 호두산.

◆봉현천 : 홀곡 동쪽에 있는 내로서 사남면 봉암산에서 발원하며 고성군 하이면과 경계를 이루며 남해로 흘러들어감.

◆분계 : 홀골 북쪽에 있는 마을. 사천시와 고성군의 경계에 있다.
◆비룡재 : 비운재. 홀골 동북쪽에 있는 고개로 옛날에는 와룡산의 용이 이 재에서 등천했다고 함.

◆상도랑 : 홀골 위쪽에 있는 도랑.

◆상투바우 : 새미골과 안골 사이에 있는 바위. 마치 상투처럼 생겼다고 함.

◆새미골 : 구실 뒤에 있는 안골. 옆에 있는 골.

◆새밋골 : 구실 북쪽에 있는 마을.

◆송골땀 : 구실마을회관 왼쪽 들.

◆안 골 : 구실마을 뒷골.

◆장자터 : 홀곡마을 뒤에 있는 터. 장자가 살았다고함.

◆절골 : 구실마을 뒤.

◆형제바우 : 홀곡 뒷산에 있는 바위. 마치 형제간에 같이 서 있는 형국이라 함.

◆호두산 : 이곡 북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 225m이며 범의 머리처럼 생겼다고 함. 일명 범당산.

◆홀골 : 구실에서 북쪽으로 약 1km. 와룡산과 고성 와룡사이에 있는 골짜기 중턱에 생긴 마을로 사천시와 고성군의 경계에 홀로 떨어져 집단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자료출처:삼천포지명지>

2003년 03월 27일 10시 55분 / 문화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