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친환경농업기술-친환경농자재 사례별 유의사항(2)

상토 준비
상토의 준비에서 주의할 점은, 무농약재배 이상에서는 농약이나 합성제제가 들어갈 위험이 있는 자재 선택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년도에 다음해 사용할 상토를 미리 준비해 두어야 한다. 올해까지는 상토 조제 시 공장식 축산 분뇨가 들어간 퇴비도 허용되지만 2005년부터는 금지되므로 올해 여름부터 상토준비를 반드시 해두어야 한다.
좋은 방법은 흙과 풀을 교대로 쌓아두어 뒤집기를 하면서 잘 발효시켜두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숯이나 훈탄을 섞어도 된다. 유기인증에서 주의할 점은 육묘 중 추비 시에 일반적인 영양제라고 불리는 각종 화학비료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상토 준비하는 시기에 깻묵액비나 균배양체 액비 들을 같이 제조해두었다가 사용하면 편리하다.
?
육묘 중 고려할 점
육묘 중 고려할 것으로는 건강한 묘를 기르기 위해서는 연결포트의 경우 구멍 갯수가 적은 것을 선택하여 각각의 묘가 충분한 공간 속에서 자라게 해주고 도장이 되지 않게 해주는 것이다.
수도육묘에서는 파종량을 산파상자 시 120그램 이하로 하여 건묘를 육성하고 35일 이상 장기육묘에 대비하는 것이 좋다. 밀식하게 되면 30일 이후 생육이 불량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흙살림이 개발한 수도용 상토는 유기인증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청은 2월 15일까지 해야 된다. 혹시 작년에 구입해두었다가 남은 것을 사용한다면 흙을 1/3가량 섞어서 사용해야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다.
?
토양 관리와 토양 검사
토양 관리를 준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궁리를 하고 있겠지만, 유기재배 인증을 받은 농가는 올해에도 공장식 가축분 퇴비를 사용할 수 있다하더라도 내년부터 금지되므로 가축분이 안 들어가는 퇴비나 유기질비료로 토양유기물 및 양분관리를 시도해 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쌀겨와 깻묵을 1 : 1로 섞어 발효한 균배양체를 평당 1-2kg 사용할 것을 권한다.
토양 관리에 앞서 어떻게 해야 할지 가늠이 안 되면 토양검사를 반드시 실시해보고 그 결과를 흙살림과 상의해보는 것이 좋겠다. 검사할 시간이 촉박하면 토양산도와 염류농도만이라도 검사해보고 석회 사용량과 석회 종류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예년에 비해 어느 정도 퇴비나 균배양체 등의 사용량을 가감할지 거칠게라도 결정할 수 있다. 산도와 염류농도 검사는 농협에서 공급한 분석기나 농업기술센터에서 빠르게 검사할 수 있다.
?어떤 분은 친환경농업에서 석회사용을 모두 금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유기인증에서만 생석회와 소석회, 석회가 들어간 광재규산질이 토양살포용으로 금지되고 다른 인증구분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대로 석회를 사용할 수 있다.
?
농자재 허용여부 확인과정 반드시 거쳐야
인증구분별, 농자재의 브랜드별로 허용 여부가 불확실한 것은 해당 인증기관에 공식적으로 질의서를 보내서 답변을 받아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2004년 03월 25일 10시 08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