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경남수산자원연구소,국내 처음으로 대구인공종묘생산 성공

대구탕, 대구알젓 등으로 옛날부터 겨울철이 되면 계절 먹거리 음식으로 미식가의 입맛을 돋우는 산해진미로 널리 알려진 남해안 대구가 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의 끈질긴 노력 끝에 국내 처음으로 인공종묘 대량생산에 성공하여 대구자원의 안정적인 자원조성을 위하여 전장 5㎝ 내외의 어린대구 2만 마리를 4월말에 진해만에 방류할 계획이다.
이번 인공종묘 대량생산에 성공한 대구는 1930년대에는 3만여톤 어획되어 겨울철만 되면 남해안 어시장에 대구가 넘쳤는데 1990년대에 들어서는 어획량이 300~600톤으로 감소되어 한때는 대구 한 마리에 60만원을 호가 할 정도로 비싼 값으로 거래되기도 하였다. 경상남도에서는 대구자원 증강을 위하여 1981년부터 거제 외포지역에서 수정란 방류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방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 산하 수산자원연구소에서 3여년에 걸쳐 어린대구 종묘생산을 시도하여 이번에 대량생산에 성공하게 되었다. 대구는 우리나라 연안에 살고 있는 약 1,000여종의 어류 중에서 한대성어종으로 산란을 위한 계절 회귀성의 대표적인 어류이다. 동해, 오호츠크해, 베링해의 45~450m의 수심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다가 겨울철(12~2월) 산란기가 되면 얕은 바다로 회유하는데 경상남도 진해만이 그 산란 장소이다. 전장 약 65~100㎝의 대구는 1마리가 약 200~300만개의 알을 품으며, 수정란은 6~9℃에서 12~14일 만에 부화하고, 부화된 자어는 20m 이상의 저층에서 생활하다가 3월 상순경까지 전장 2㎝크기로 성장하면서 점차 얕은 곳으로 나오고, 5월경 수온이 15℃ 전후가 될 때까지 진해만 일대에 머물다가 7~9cm에 이른 치어는 수온이 상승하면서 수온이 낮은 연해의 깊은 곳을 찾아 잠시 모였다가 점차 만 밖으로 이동하여 깊은 바다로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 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에서는 대구자원의 방류효과를 극대화 하고 안정적인 자원조성을 위하여 우량종묘를 대량 생산하여 방류사업을 확대하여 나갈 방침이다.

2005년 04월 28일 11시 24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