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호연재(浩然齋)복원 본격 추진

  용역비 2천만원 확보, 노산현장 답사


노산 호연재 복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발기인회 및 추진위원회가 지나 6일 사천시 선구동(삼천포 라이온스 건물 3층) 추진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시민들에게 호연재를 알리는 홍보전단을 배포하는 등 범시민 운동을 통해 호연재 복원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사천시가 호연재 복원사업을 위한 용역비 2천만원을 추경에서 확보하기로 하고, 옛 호연재가 있던 노산 현지(팔각정이 철거된 곳)를 답사하는 등 복원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김수영 사천시장은 지난 7일 오전 조재호씨 등 원로 발기인들과 강경렬씨 등 추진위원들, 최송량씨 등 박재삼 문학관 기념사업 회원들과 함께 노산의 옛 호연재 터를 답사하고 호연재 건물의 옛 모습과 규모 등을 여러 문헌과 고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전문가들을 통해 검토하되 원로, 추진위원들과도 복원내용을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사천시는 호연재를 복원한 뒤 이를 유지, 보수, 관리하려면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야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이기도 하였다.
이에 다라 호연재 복원추진위원회에서는 교수 학자 등 문화재 전문가들을 통해 호연재와 비슷한 시대에 있었던 서당, 학당, 향교 등을 알아보고 호연재의 외형과 내부구조 등 건물형태는 물론 훈장들의 전수활동과 호연지기 정신의 역사성을 깨우치는 각종 문헌도 발굴해 전시하기로 하는 등 복원사업의 내실을 기하기로 하였다. 이처럼 향교 하나 없던 구.삼천포지역에서 호연재가 새 교육의 뿌리로 자리매김하고 복원사업이 본격화되자 뜻있는 시민들은 기왕 복원할 바에야 옛 호연재 건물이 고색 찬연했다는기록을 참작하여 역사성과 시대감각을 살린 호연재로 거듭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을 모으기도 하였다.
한편 호연재 복원이 발원되기 전 옛 호연재 터(팔각정 자리)에 건립하려던 박재삼 문학관은 호연재 복원사업이 추진되자 호연재 서남쪽 빈터(박재삼 시인이 서정시를 읊조리던 곳)에 세우기로 잠정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맨 오른쪽 김수영 시장과 조재호 원로 발기인(가운데 모자쓴 분)등이 현지를 답사하고 있다.

2005년 10월 13일 8시 02분 / 사회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