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3월의 독립운동가] 동오(東吾) 신홍식(申洪植) 선생

  (1872. 3. 1 ~1939. 3. 18)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국권회복과 조국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신홍식 선생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1872년 충북 청주에서 부친 신기우(申驥雨)와 모친 최살랍(崔撒拉)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나 어려서 한문을 수학한 뒤 1913년 감리교 협성신학교를 졸업했다. 한말의 국가 존망의 위기 속에서 진로를 놓고 방황하다가 1904년 기독교에 입교하면서 인생의 진로와 삶의 목표를 발견하고 선교를 통한 구국운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1906년부터 충북 보은군 보은교회 권사로 목회생활을 시작하는 한편, 민족의식의 고취에 힘썼다. 1909년에는 충남 청원군 직산면 직산교회 전도사로 전임되었고, 1913년 협성신학교를 졸업한 해에는 목사 안수를 받고 공주지방 순회목사가 되었다. 1915년 공주읍교회 담임목사로 취임한 뒤에는 부흥운동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1917년에는 평남 평양시 남산현교회의 담임목사로 전임되어 봉직하던 중, 3·1운동 민족대표로 참여하였다. 일제의 주권강탈과 한국강점에 반대하면서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려는 굳은 항일의지를 갖고 있었던 까닭이다. 1919년 2월 15일 평양 기홀병원에서 이승훈을 만나 독립운동에 관해 상의하고 이 자리에서 3·1운동에 참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2월 26일, 27일 양일간에 걸쳐 개최된 비밀모임에 기독교 대표 16인 중의 1인으로 선정되어 감리교를 대표해 민족대표 33인 중의 1인으로 서명하였다. 3월 1일 종로 태화관 독립선언식에 참가했다가 현장에서 주동자로 체포당했으며, 이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21년 11월 출옥하였다.
독립운동을 민족 양심의 발로이자 ‘하나님의 뜻’으로 이해한 선생은 출옥 이후에도 끊임없이 민족의식을 고취하면서 민족운동에 대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3·1운동만큼의 큰 족적은 아니었으나, 지속적이면서도 다양한 사회방면에서 사회활동의 궤적을 남겼던 것이다.
1925년 민족주의단체로 조직된 흥업구락부에 참가하여 활동했고, 1930년대 전반에는 겉으로 기독교 개혁을 표방하나 속으로는 민족독립의 실력양성을 추진했던 적극신앙운동에 적극 참여하기도 했다. 1938년 2월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곤욕을 치룬 뒤 교회 일선에 물러나 충북 청주로 낙향하였다가 1939년 3월 18일에 일생을 마쳤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독립기념관과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는 선생의 뜻과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별도의 전시실을 마련하여 관련자료와 사진을 3월 한 달간 전시하는 한편, 순국선열유족회에서도 이 달의 독립운동가 학술강연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2006년 03월 09일 9시 55분 / 문화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