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콩, 제대로 수확하려면! 』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생육중기를 맞고 있는 콩의 안전한 재배를 위해, 순지르기 작업, 병해충 방제, 재해관련 대책 등 생육단계별 실천과제에 관한 기술지원을 실시해 나가기로 했다.
콩을 일찍 심거나 지력이 높은 곳에 배게 심겨진 콩의 경우, 웃자란 포장을 간혹 볼 수 있는데, 이럴 때는 약한 비바람에도 쓰러지기 쉽기 때문에 잎이 5~7매 정도 되었을 때 줄기 윗부분을 낫이나 커트기 등을 이용하여 잘라 주는 것이 좋다. 순지르기 작업을 하면 뿌리가 굵어지고, 잔뿌리 발생이 많아 튼튼하게 자라 많은 꼬투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요즘 콩에 가장 많은 피해를 주는 병해충으로는 노린재류를 들 수 있다. 풀노린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풀색노린재 등 2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중 가장 문제가 되는 노린재 종류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풀색노린재이다. 이들은 꼬투리가 커지는 시기에 침으로 즙액을 빨아 가해를 하게 되는데, 피해를 받은 콩꼬투리는 빈껍데기가 되거나 종자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방제방법으로는 농약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쉽게 이동을 하는 노린재의 특성을 감안하여 여러 농가가 동시에 방제를 하는 것이 유리하며, 방제시기는 꽃이 핀 후 17~37일 사이에 델타유제, 또는 에토펜프록스 유제로 2회 방제를 해야 한다.
콩은 밭작물이기 때문에 습해에 무척 약하다. 습해로 인한 수량감소는 생육초기보다는 꽃이 피는 시기부터 종자가 생겨서 자라는 시기에 발생할 경우 피해가 커지기 때문에 생육중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콩 포장에는 배수로를 설치하여 물빠짐을 좋게 하고 줄기와 잎이 너무 무성해지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한 순지르기 작업을 꼭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 습해로 생육이 부진할 경우 요소 1%액을 잎에 뿌려주어서 생육을 회복시켜야 수량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006년 08월 24일 14시 48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