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과일 농사, 중간점수 상위권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이 지난 주, 올해 도내 과수 작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라고 전하고, 앞으로 수확까지 병해충 적기방제와 태풍 등 기상재해에 대비한 과원관리에 철저를 기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농업기술원이 도내 주요 과종별 작황을 분석한 결과 단감의 경우 10a당 나무에 달린 과실수(착과수)가 9,063개로 평년대비 8%가 많았으며, 생산예상량은 평년대비 107%정도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사과는 착과수가 9,133개로 평년작의 101%였고, 현재까지 작황도 좋은 편이어서 생산예상량도 평년작을 웃돌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배도 착과수가 8,616개로 평년대비 111%의 양호한 작황을 보이고 있고, 생산예상량도 평년대비 107%정도로 좋은 작황을 보이고 있다.
농업기술원은 지난 5월과 6월 일부지역에 내렸던 우박이 단감과 사과 등 과수에 피해를 입히기도 했으나 이후 생육이 나아졌고 이외 지역의 작황이 좋은 편이어서 이번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전하고 있다.
다만, 앞으로 병해충 적기 방제와 태풍 등 기상재해에 대비하여 지주목을 세우고, 배수로를 정비하여 관리에 철저를 기하는 한편, 사과는 착색 상태가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확이 가까워지면 반사필름을 깔고, 하계전정을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과실이 햇볕을 원활히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또한 수확시기에 접어들기 전에는 조류에 의한 과실피해가 많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방조망 또는 포획트랩 등을 설치하여 고품질 과실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하고 있다.

2007년 08월 23일 13시 38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