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우리나라 첫경비행기 설계자 이원복씨 흉상 제막식, 근대문화재로 등록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경비행기 “부활호”의 설계자 이원복(82세, 예비역 공군대령)씨의 흉상 제막식이 지난 23일 오전 항공우주박물관 옥외 전시장에서 뜻깊게 열렸다.
경비행기 “부활호”는 1953년 사천 공군기지에서 공군 대령으로 예편한 이원복(82세)씨가 설계하고 조종사인 민영락(81세)씨가 시험 비행에 성공하였다.
이날 제막식에는 설계자 이원복 예비역 공군 대령의 부부와 가족, 조종사인 민영락씨 “부활호”의 휘호를 명명 하사한 이승만 전대통령의 아들인 이인수(77세)박사 부부가 참석해 그 뜻을 한층 더 높였고 그때의 공군 기술진을 높게 평가하는 자리가 되었다.
6.25전란으로 피폐한 상황이면서도 그때 일본의 패전으로 횡폐해진 틈새를 이용 설계부터 성공비행에 이르기까지 4개월여만에 경비행기를 완성하는 쾌거를 올리게 된 것이다.
그때의 공군내에서는 일본보다 앞서자는 결의로 “세우자 대한의 항공기술”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공군의 결집력을 키워나가게 되었다.
국산 최초 경비행기 “부활호”는 1953년 6월에 기장 6.6M, 기폭12.7M, 중량 380KG 최대시속 180KM로 그해 10월에 완성하게 된 것이다.
그후 설계자 이원복 대령이 동승하고 민영락 조종사의 조종으로 사천하늘을 날아 많은 사람들에게 흥분과 감격을 주었다. “부활호”는 국산 최초 경비행기로서 1960년대까지 정찰 및 훈련기로서의 활약을 해 왔다.
이원복 설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참으로 감회가 깊다. “세우자 대한의 항공기술”이란 기치 아래 완성된 부활호를 타고 “사천 하늘을 처음 날으던 것이 엇그제 같은데 오늘 이 사천기지에 와보니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낀다”며 “그때의 하늘아래 사천은 조그마한 촌락에 불과했으나 KAI본사와 일반 산업단지 등의 유치로 상전벽해가 되었다”며 흥분하면서 이 비행기가 종적이 묘연했다가 대구 경상공고 지하에서 찾게된 경위를 알 수 없다며 아쉬워 했다.
또 “부활호”라는 친필 휘호를 남긴 이승만 전대통령의 아들 이인수 박사는 감회에 젖은듯 눈을 지그시 감고 “그때의 우리 공군력을 높이 평가하던 아버지의 모습이 선하다”며 숙연해 했다.
김수영 시장은 내년에는 실물 크기의 “부활호”를 제작하여 관광객이나 시민들이 직접 탑승하여 사천하늘에서 시가지와 풍경을 굽어 볼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고 말해 사천 관광에 또 하나의 관광자원으로 뜨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복원된 “부활호”는 항공 기술사적 가치를 인정 받아 지난 10월 1일 근대 문화재 제411호로 정식 등록되었다.

취재: 이동호 편집이사
4000news@naver.com

2008년 10월 30일 11시 46분 / 종합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홈으로 다음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