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치료 마친 보물 괘불탱 남해 용문사로 』
남해 용문사에 있는 보물 제1446호 괘불탱(掛佛幀)이 문화재청의 자문을 받아 보존·처리작업을 마치고 지난 7일 남해 용문사로 돌아왔다.
괘불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화로서 본존 불상 좌. 우에 협시보살(脇侍菩薩)만을 배치시켜 삼존도 형식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용문사 괘불탱은 가로 584㎝ 세로 864㎝로 지난 2003년 9월23일 국가지정 보물 로 지정된 군내 유일의 보물로서 769년(영조45)에 제작된 불화의 전형적인 인물의 형태와 표정, 신체 비례 등에 있어 18세기 중반 이후 불화의 전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직된 듯 조화롭고 세련된 표현기법으로 불화연구의 자료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200년 6월 보존처리 사업을 위해 반출된 용문사 괘불탱은 최대한 전통적인 방식에 입각해서 가역(可逆)적인 재료와 처리방식을 선택해 직물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1억5000만 원(국비 1억500만 원, 지방비 4500만 원)을 들여 고창문화재 연구소(경기도 용인시 소재·대표 송정주)가 1년 9개월간의 괘불탱을 보존, 처리작업을 시행했다.
괘불탱을 보유하고 있는 용문사는 천년고찰로서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세운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다시 중건되었으며 국·도 지정문화재를 26점 보유한 보고다. 2011년 03월 10일 11시 43분 / 문화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