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자치행정 경제/정보 사회 문화 농어업 교육 환경 스포츠
 
 
 
  봉화칼럼
석종근과 함께 “그림으로 읽는 한자 세상”
한자는 그림문자이다.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를 형상의 그림으로 그려 보는 연습을 하면 현상이 보인다. 여기에는 상징성의 단순화, 철학성의 객관화 ...... 봉화칼럼 전체 리스트 보기
 
 
농작물 병해충 돌발 병해충 신속 예찰을 위한 예찰 방제단 운영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최복경)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벼농사를 비롯한 각종 농작물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병해충 예찰활동을 지원해 나가기 위해 벼 병해충 발생 예찰 및 관찰포를 운영해 나가기로 했다. 벼 병해충 예찰을 위한 예찰포 143개소와 벼 병해충 발생면적 통계조사를 위한 병해충 관찰포 81개소 등 벼 생육과 병해충 발생 상황에 대한 신속한 정보 습득으로 안전영농을 수행해 나가기위한 이 사업은 효과적인 병해충 방제를 통한 안전농산물 생산에도 목적을 두고 있다.
과학적인 정밀예찰과 분석으로 병해충 발생상황, 또는 전망을 신속히 파악하여 각종 병해충에 관한 발생정보를 조기에 확산시키기 위해 운영되는 예찰포와 관찰포는 시군별 예찰담당자의 관리로 벼농사 중 모내기에서부터 수확까지는 물론 주요작물에 대한 병해충 발생 상황도 예측함으로써 방제대책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올해 운영되는 벼 병해충발생 예찰포와 관찰포에서 조사되는 병해충은 잎도열병 및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줄무늬 잎마름병, 검은줄무늬오갈병, 오갈병, 갈색잎마름병, 깨씨무늬병 등 병해 10종과 벼잎벌레,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애멸구, 끝동매미충, 멸강나방, 벼물바구미,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먹노린재, 이화명나방 등 12종의 해충을 발생가능 시기별로 정밀 조사하게 되는데, 포장에 설치된 유아등과 포충망, 포자채집기 등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표본조사의 정밀도를 높여나가게 된다.
올해 운영되는 벼 병해충발생 예찰포와 관찰포에서 조사되는 병해충은 잎도열병 및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흰잎마름병, 세균성벼알마름병, 줄무늬 잎마름병, 검은줄무늬오갈병, 오갈병, 갈색잎마름병, 깨씨무늬병 등 병해 10종과 벼잎벌레, 벼잎굴파리, 벼줄기굴파리, 애멸구, 끝동매미충, 멸강나방, 벼물바구미,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먹노린재, 이화명나방 등 12종의 해충을 발생가능 시기별로 정밀 조사하게 되는데, 포장에 설치된 유아등과 포충망, 포자채집기 등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표본조사의 정밀도를 높여나가게 된다.

2012년 04월 12일 11시 32분 / 농어업

Copyright (c) 1999 사천신문 Co. All rights reserved.

이전 기사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