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지봉수(針枝烽燧)
용현면 신복리와 석계리를 잇는 동쪽 뒷산 위에 있었다. 고려 때 설치한 봉화대로 조선 초기까지 있었던 보조선의 간봉(間烽)이다.
남쪽으로는 주산인 각산(角山)봉수에 응답하고 북쪽은 서낭당봉수에 응답했다. 이 봉수대는 세종 때 안점(鞍岾)봉수를 새로 설치하면서 폐지되었다.
<자료출처:향토문화유적>
각산봉수 침지봉수 성황당봉수 안점봉수 우산봉수 ※봉수제도의 역사
TEXT여행 지도여행